서브 배너 서브 배너

방문건강관리

서울시민의 건강증진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노력하는 서울시 통합건강증진사업지원단

설문조사
    서울시 방문건강관리사업이란?

    서울시 방문건강관리사업이란?

    서울시 방문건강관리사업의 비전 및 목표는 무엇인가요?

    비전

    지역사회에서 건강하게 오래 살기

    목표

    • 1.
      지역기반 인구집단
      수준의 관리
    • 2.
      건강형평성 제고 및
      사회 연대성 강화
    • 3.
      노인의 기능적 능력 유지

    서울시 방문건강관리사업, 서울시 어르신이 익숙하고 친근한 지역사회에서 건강하게 오래 살 수 있도록 가정방문과 개인의 맞춤형 건강 설계를 통해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여 건강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키고, 스스로 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키며, 건강상태를 유지·개선하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.


    누구를 대상으로 하나요?

    65세·70세 도래 어르신, 빈곤위기가구 혹은 건강위험군과 같은 건강취약계층 가정을 대상으로 합니다.


    누가 방문하나요?

    방문간호사와 복지전담인력이 2인 1조로 방문합니다.


    무슨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까?
    • 우리동네 담당 방문간호사가 지역구 동 어르신 개인별 포괄 건강평가 실시

    • 건강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한 개인별 건강 설계

    • 건강정보 제공 및 보건교육, 상담 등의 서비스 제공

    • 건강위험도에 따른 지속적 건강관리(사례관리) 서비스 제공

    • 개인 맞춤형 지역사회 자원 연계(지역 내 건강생태계사업, 치매안심센터, 정신건강복지센터, 민간 병·의원 등)

    [자원 연계 주요 내용]
    • - 보건소 및 보건지소의 건강증진 사업, 교육, 프로그램
    • - 어르신 건강동행, 시립병원 301네트워크 사업을 활용한 취약계층의 입원·진료 지원
    • - 대상자의 동의를 거쳐 병의원 의뢰 및 건강정보 공유를 통한 질병관리
    • - 치매안심센터와 업무 협력을 통한 치매예방 및 조기검진, 치매환자 지원
    • - 정신건강복지센터,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의 업무 협력을 통한 정신건강, 우울, 알코올 중독 등의 건강문제 해결
    • - 복지문제 해결을 위한 동 단위 사례관리에 의뢰
    • - 어르신의 질병관리를 위한 장기요양 서비스 연계
    • - 약물오남용 관리, 금연을 위한 세이프 약국 연계 등
    • 65세 이상 건강고위험 어르신 주기별 가정방문

    • 돌봄 위기가구, 빈곤위기가구 건강문제 의뢰 시 가정방문

    • 집밖 함께 건강프로그램 운영

    • 건강소모임 및 건강 프로그램 운영 (주민참여, 주민 주도적 지역건강의제 발굴, 실천모임)

    • 지역사회 참여 촉진을 위한 참여 건강 사업

    • 환절기 황사, 미세먼지, 이상기후(폭염·호우, 한파 등) 대비 건강관리

    • 지진 등 재난 대비 건강관리 등


    서울시 방문건강관리서비스 과정
    방문간호
    Step1
    방문간호사와 복지전담인력이 2인 1조로 방문
    화살표
    방문상담
    Step2
    만 65세 이상 어르신 가정방문 및 동 주민센터 방문상담 등을 통해
    건강사정 후 개인에 맞는 군으로 분류
    화살표
    건강관리
    Step3
    어르신 개인별 맞춤 건강관리
    (교육, 운동프로그램 참여, 필요한 자원 연계서비스 등)
    서울시 방문건강관리사업 추진경과
    방문건강관리사업 추진경과
    방문건강관리사업 추진경과

    서울시 자치구별 마을중심 방문건강관리사업 사이트